마가복음 14 : 12~26
사랑의 새 언약으로 초대하는 만찬
배반을 통한 구속의 성취 14:12~21
12무교절의 첫날 곧 유월절 양 잡는 날에 제자들이 예수께 여짜오되 우리가 어디로 가서 선생님께서 유월절 음식을 잡수시게 준비하기를 원하시나이까 하매
13예수께서 제자 중의 둘을 보내시며 이르시되 성내로 들어가라 그리하면 물 한 동이를 가지고 가는 사람을 만나리니 그를 따라가서
14어디든지 그가 들어가는 그 집 주인에게 이르되 선생님의 말씀이 내가 내 제자들과 함께 유월절 음식을 먹을 나의 객실이 어디 있느냐 하시더라 하라
15그리하면 자리를 펴고 준비한 큰 다락방을 보이리니 거기서 우리를 위하여 준비하라 하시니
16제자들이 나가 성내로 들어가서 예수께서 하시던 말씀대로 만나 유월절 음식을 준비하니라
17저물매 그 열둘을 데리시고 가서
18다 앉아 먹을 때에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 중의 한 사람 곧 나와 함께 먹는 자가 나를 팔리라 하신대
19그들이 근심하며 하나씩 하나씩 나는 아니지요 하고 말하기 시작하니
20그들에게 이르시되 열둘 중의 하나 곧 나와 함께 그릇에 손을 넣는 자니라
21인자는 자기에 대하여 기록된 대로 가거니와 인자를 파는 그 사람에게는 화가 있으리로다 그 사람은 차라리 나지 아니하였더라면 자기에게 좋을 뻔하였느니라 하시니라
피로 맺은 새 언약 14:22~26
22그들이 먹을 때에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에게 주시며 이르시되 받으라 이것은 내 몸이니라 하시고
23또 잔을 가지사 감사 기도 하시고 그들에게 주시니 다 이를 마시매
24이르시되 이것은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
25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내가 포도나무에서 난 것을 하나님 나라에서 새 것으로 마시는 날까지 다시 마시지 아니하리라 하시니라
26이에 그들이 찬미하고 감람 산으로 가니라
• 오늘의 말씀 요약
예수님이 두 명의 제자를 성안으로 보내, 예비된 다락방에서 유월절 음식을 준비하게 하십니다. 다락
방에서 제자들과 함께 잡수실 때 그들 중 한 사람이 예수님을 팔 것이라 말씀하십니다. 예수님이 제자
들에게 떡과 잔을 주시며 자신의 몸과 피라 하시고, 식사 후 제자들과 감람산으로 가십니다.
배반을 통한 구속의 성취 14:12~21
예수님은 제자들과의 마지막 유월절 만찬을 준비하십니다. 유월절 만찬은 출애굽과 이스라엘의 구속을
기념하는 의식입니다(출 12장). 예수님은 전통적인 유월절 만찬의 의미들 재해석하셔서 그분의 희생을
동한 구속의 새 언약을 예고하실 것입니다. 예수님은 자신을 배신할 자들 알고 계십니다. "나와 함께 먹는
자가 나를 팔리라"(18절)라는 말씀은 시편 말씀의 성취입니다(시 41:9). 성경은 배신이라는 인간의 죄악
된 본성을 동해 하나님의 구속 계획이 이루어지는 아이러니를 보여 줍니다. 하나님은 크신 구속 계획 안
에서 인간의 연약함까지 사용하십니다. 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성도는 하나님이 이루실 더 크고 완전한 계
획을 신뢰해야 합니다.
예수님이 자신을 배신할 자와 유월절 만찬을 함께하신 이유는 무엇일까요? 배신과 같은 어려움을 당할
때도 나는 하나님의 계획을 신뢰하나요?
피로 맺은 새 언약 14:22~26
마지막 유월절 만찬을 통해 예수님은 이 땅에 오신 목적을 분명히 알리십니다. 떡은 예수님의 몸을, 포도
주는 예수님의 피를 상징합니다. 이는 구약 시대에 자주 드렸던 희생 제사를 예수님이 십자가에 달려 죽
으심으로 단번에 완성하심을 의미합니다. 예수님이 마지막 만찬에서 세우신 새 언약은 그분의 희생으로
성취되며, 그 희생이 그분을 믿는 모든 자에게는 생명이 됩니다. 모세가 짐승의 피를 뿌림으로 하나님과
백성이 언약을 맺었음을 나타내듯이(출 24:8), 예수님은 그분의 피로써 새 언약을 맺으십니다. 성도는 성
만찬을 행할 때마다 예수님의 희생과 구속의 은혜틀 기억하며, 새 언약의 은혜 안에서 살아가야 합니다.
유월절 마지막 만찬에서 예수님이 나누어 주신 떡과 잔은 무엇을 의미하나요? 성만찬을 할 때 내가 기억
하고 다짐할 것은 무엇인가요?
• 오늘의 기도
하나님, 악한 일까지도 구속을 이루는 데 사용하시는 하나님의 섭리를 찬양합니다. 저를 구원하시려고
피로 대속해 주신 주님의 은혜에 감사합니다. 주님의 살과 피를 기념할 때마다 제가 새 언약 가운데 있
는 하나님 자녀임을 기억하며 그에 합당한 삶을 살게 하소서.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