요한복음 12 : 12~19
어린 나귀를 타신 겸손과 평화의 왕
오늘의 찬송
(새 84 온 세상이 캄캄하여서)
온 세상이 캄캄하여서 참빛이 없었더니 그 빛나는 영광 나타나 온 세상 비치었네/ 죄 가운데 사는 사람은 그 눈이 어두워도 그 죄악을 씻는 날에는 그 눈이 밝아지네/ (후렴) 영광 영광의 주 영광 영광의 주 밝은 그 빛 내게 비추었네 영광 영광의 주 영광 영광의 주 이 세상의 빛은 오직 주 예수님
종려나무 가지와 어린 나귀 12:12~15
12그 이튿날에는 명절에 온 큰 무리가 예수께서 예루살렘으로 오신다는 것을 듣고
13종려나무 가지를 가지고 맞으러 나가 외치되 호산나 찬송하리로다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 곧 이스라엘의 왕이시여 하더라
14예수는 한 어린 나귀를 보고 타시니
15이는 기록된 바 시온 딸아 두려워하지 말라 보라 너의 왕이 나귀 새끼를 타고 오신다 함과 같더라
예수님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 12:16~19
16제자들은 처음에 이 일을 깨닫지 못하였다가 예수께서 영광을 얻으신 후에야 이것이 예수께 대하여 기록된 것임과 사람들이 예수께 이같이 한 것임이 생각났더라
17나사로를 무덤에서 불러내어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실 때에 함께 있던 무리가 증언한지라
18이에 무리가 예수를 맞음은 이 표적 행하심을 들었음이러라
19바리새인들이 서로 말하되 볼지어다 너희 하는 일이 쓸 데 없다 보라 온 세상이 그를 따르는도다 하니라
• 오늘의 말씀 요약
명절에 예수님이 어린 나귀를 타고 예루살렘으로 가십니다. 큰 무리가 종려나무 가지를 가지고 나가
"호산나 .. 이스라엘의 왕이시여"라고 외치며 예수님을 맞이합니다. 나사로를 살리신 예수님의 표적에
대해 들었기 때문입니다. 한편 바리새인들은 온 세상이 예수님을 따른다고 말하며 경계합니다.
종려나무 가지와 어린 나귀 12:12~15
예수님을 환호하는 무리는 자신들을 로마 제국에서 해방시켜 줄 정치적 왕을 기대했습니다. '종려나무'에
해당하는 헬라어 '포이닉스'는 '불사조'(phoenix)들 뜻합니다. 유다 마카베오가 수전절에 종려나무 가지
들 가지고 성전에 들어왔고(주전 164년), 그의 형 시몬이 예루살렘을 되찾았을 때도 유대인들은 종려나
무 가지들 흔들며 환호했습니다(주전 141년). 이렇게 종려나무는 승리와 구원을 상징합니다. 무리가 "호
산나"("지금 구원하소서."라는 뜻)들 외치며 예수님을 이스라엘의 왕으로 환호합니다(13절). 예수님의 예
루살렘 입성은 마치 왕의 대관식과도 같지만, 예수님은 무리가 바라는 혁명적 왕으로 오신 것이 아닙니
다. 예수님은 스가랴의 예언처럼 어린 나귀들 타신 겸손의 왕이요(슥 9:9), 두려워하는 백성을 위로하시
는 평화의 왕입니다(15절).
예수님이 어린 나귀틀 타신 것은 무엇을 의미하나요? 내가 직위나 권위들 내려놓고 겸손하게 행동할 일
은 무엇인가요?
예수님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 12:16~19
예수님이 어린 나귀를 타고 입성하시자 사람들의 반응이 각기 다릅니다. 먼저 제자들은 그 일의 의미틀
깨닫지 못합니다. 그들은 예수님이 영광을 얻으신 후, 곧 부활하시고 승천하시는 것을 본 후에야 그 의미
들 깨닫게 됩니다(16절). 예수님이 나사로를 살려 내신 일을 보거나 들은 무리는 그분이 그러한 표적을
다시 보이실 것을 기대하며 환호합니다(17~18절). 한편 바리새인들은 온 세상이 예수님을 따른다며 분개
합니다(19절). 교만한 자들은 만왕의 왕이신 예수님이 연약한 나귀 새끼를 타시고 예루살렘에 입성하신
의미틀 결코 알지 못합니다.
예루살렘에 입성하시는 예수님을 두고 무리와 바리새인들의 반응은 각각 어떠했나요? 나 중심으로 판단
하지 않도록 주의할 일은 무엇인가요?
• 오늘의 기도
주님, 세상의 주인이자 왕으로 이 땅에 오신 주님을 찬양합니다. 제 삶의 구원자이신 주님께 제 마음의
왕좌를 내어 드립니다. 군림하는 이 땅의 왕들과 달리 나귀를 타고 왕으로 오신 예수님처럼, 저도 보냄
받은 자리에서 겸손하게 행하며 주님을 온전히 따르게 하소서.
|